사이버 보안 기업 노드패스(NordPass)가 최근 발표한 2.5테라바이트(TB) 규모의 사이버 보안 침해 데이터베이스 분석 결과는 전 세계 인터넷 사용자들의 비밀번호 보안 의식에 대한 경종을 울리고 있습니다. 이 데이터는 다양한 공개 출처에서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며,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비밀번호 목록을 공개했습니다. 충격적이게도, 대부분의 흔한 비밀번호는 해커가 1초 이내에 크랙(crack)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23456'의 압도적인 1위: 쉬운 비밀번호의 위험성
이번 보고서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123456'이 300만 건 이상 사용되며 전 세계에서 가장 흔한 비밀번호 1위를 차지했다는 사실입니다. 그 뒤를 이어 '123456789'가 160만 건, '12345678'이 88만 5천 건 사용되며 상위권을 휩쓸었습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기억하기 쉬운 숫자 및 문자 조합을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심각한 보안 위협에 노출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상위 25개 비밀번호 목록을 자세히 살펴보면, 'password', 'qwerty123', '111111', 'secret' 등 예측 가능한 단어나 반복적인 숫자, 키보드 배열을 그대로 사용한 경우가 대다수였습니다. 심지어 'iloveyou'와 같이 개인적인 의미를 담은 단어도 쉽게 유추될 수 있어 보안에 매우 취약합니다.
보안 전문가들은 "이러한 비밀번호들은 해커가 자동화된 프로그램을 사용해 무작위 대입 공격(Brute Force Attack)이나 사전 공격(Dictionary Attack)을 시도할 경우, 문자 그대로 '1초도 안 걸려' 해독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이는 개인 정보 유출은 물론, 금융 사기, 신분 도용 등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비밀번호 설정 시의 안일함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안전한 비밀번호 설정을 위한 필수 가이드라인
이번 노드패스의 보고서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온라인 보안 습관을 재고해야 할 필요성을 강력하게 시사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안전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을까요?
첫째, 문자, 숫자, 특수 문자를 조합하여 12자리 이상의 긴 비밀번호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밀번호의 길이가 길수록, 그리고 포함되는 문자의 종류가 다양할수록 해독에 필요한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소문자만 사용하는 6자리 비밀번호는 즉시 해독될 수 있지만, 대소문자, 숫자, 특수 문자를 포함한 12자리 비밀번호는 해독에 수천 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둘째, 개인 정보(생년월일, 전화번호, 이름 등)나 쉽게 유추할 수 있는 단어는 피해야 합니다. 또한, 'password', 'qwerty'와 같이 흔히 사용되는 패턴은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각 웹사이트나 서비스마다 다른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비록 모든 비밀번호를 기억하기 어렵겠지만, 비밀번호 관리자(Password Manager)와 같은 도구를 활용하여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셋째,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이중 인증(Two-Factor Authentication, 2FA)을 활성화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이중 인증은 비밀번호 외에 추가적인 인증 절차(예: 휴대전화로 전송되는 일회용 코드, 생체 인식 등)를 거치도록 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정보 보안 전문가는 "단순히 '귀찮아서' 혹은 '기억하기 어려워서' 쉬운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것은 디지털 세상에서 문을 잠그지 않고 집을 비워두는 것과 같다"며, "개인의 작은 습관 변화가 큰 보안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는 가장 강력한 방어선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우리 모두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위해 비밀번호 보안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입니다.
Key Takeaways:
- '123456'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밀번호이며, 대부분의 흔한 비밀번호는 해커가 1초 이내에 크랙할 수 있습니다.
- 흔한 비밀번호는 개인 정보 유출, 금융 사기, 신분 도용 등 심각한 보안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안전한 비밀번호를 위해 문자, 숫자, 특수 문자를 조합하여 12자리 이상으로 길게 설정하고, 개인 정보나 흔한 단어는 피해야 합니다.
- 비밀번호 관리자 사용 및 이중 인증(2FA) 활성화는 온라인 보안을 강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참고 자료:
- NordPass (2024) - The World's Most Common Passwords Report
- Visual Capitalist - The World’s Most Common Passwords (Based on NordPass 2024 data)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세계 자유 지수: 핀란드 1위, 러시아-점령 우크라이나 최하위 기록 (0) | 2025.06.30 |
---|---|
미국 커플, ‘어조와 태도’로 가장 많이 다툰다: 세대별 갈등 양상 심층 분석 (1) | 2025.06.30 |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2025: 코펜하겐, 비엔나, 멜버른이 선두 (1) | 2025.06.29 |
미래 세대의 중심, 아프리카 (1) | 2025.06.27 |
2024년 세계 최고 국가 순위 발표: 스위스 1위, 한국은 18위 기록 (0) | 2025.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