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독립기념일을 맞아 미국인들은 10인 기준 바비큐 준비에 평균 70.92달러를 지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미국 농업국 연맹(AFBF)의 연례 독립기념일 시장 바구니 조사 결과에 따른 것으로, 지난해 대비 30센트 하락한 수치지만, 조사가 시작된 2013년 이래 두 번째로 높은 비용을 기록하고 있다.
품목별 가격 변동과 인플레이션의 영향
AFBF 분석가들에 따르면, 올해 바비큐 품목 중 돼지 갈비(-8.8%), 감자칩(-2.1%), 햄버거 빵(-2.6%) 등은 가격이 하락했지만, 소고기(+4.4%), 감자 샐러드(+6.6%), 통조림 돼지고기와 콩(+8.2%) 등은 가격이 상승했다. 이러한 가격 변동은 전체 바비큐 비용에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소폭의 하락을 이끌어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햄버거 빵 1팩은 2.35달러, 치즈 1파운드는 3.54달러, 다진 소고기 2파운드는 13.33달러, 닭가슴살 2파운드는 7.79달러로 나타났다. 돼지 갈비 3파운드는 14.13달러로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통조림 돼지고기와 콩 32온스는 2.69달러였다. 이외에도 감자칩 16온스는 4.80달러, 감자 샐러드 2.5파운드는 3.54달러, 아이스크림 0.5갤런은 5.69달러, 쿠키 1팩은 4.00달러, 딸기 2파인트는 4.69달러, 레모네이드 2.5쿼트는 4.37달러로 집계됐다. 총합은 70.92달러로, 지난해보다 30센트 하락한 수치다.
AFBF의 부경제학자 사만다 아욥(Samantha Ayoub)은 "인플레이션과 일부 식료품의 낮은 가용성은 미국 가정의 물가를 고집스럽게 높게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녀는 "높은 가격이 농부들에게 더 많은 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농부들은 가격 결정자가 아니라 가격 수용자이다. 식품 소매 가격에서 농부들의 몫은 단 15%에 불과하다. 노동력과 운송, 세금에 이르기까지 농장 운영 비용이 상승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소비자 물가 상승이 반드시 생산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보여준다.
공급망 문제와 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
현재 물가 상승의 요인으로는 가공을 위한 소 개체수 감소가 꼽힌다. 소 개체수가 줄어들면서 소고기 가격이 상승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는 통조림 제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이는 국제 무역 정책이 국내 소비자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계란 가격은 조류 인플루엔자로부터 산란계 개체수가 회복되면서 올해 초 최고점보다는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밀 가격은 몇 년 전보다 낮아져 햄버거 빵 가격을 소폭 낮추는 데 기여했다. 이처럼 각 품목별로 다양한 공급망 이슈와 외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최종 소비자 가격을 결정하고 있다.
미국인들에게 독립기념일 바비큐는 단순한 식사를 넘어 국가적 기념일의 상징이다. 하지만 지속적인 물가 상승은 이러한 전통을 즐기는 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공급망 안정화와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Key Takeaways:
- 2025년 독립기념일 10인 바비큐 비용은 70.92달러로, 지난해 대비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품목별로 가격 변동이 상이하며, 소고기, 감자 샐러드, 통조림 돼지고기와 콩 등은 가격이 상승한 반면, 돼지 갈비, 감자칩, 햄버거 빵 등은 하락했다.
- 인플레이션과 공급망 문제(소 개체수 감소, 관세 등)가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농가 수익은 높은 소비자 물가와 별개로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 독립기념일 바비큐 비용은 미국의 전반적인 경제 상황과 소비자들의 구매력에 대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경제,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GPT 사용자 급증, 소프트웨어 개발부터 경제/금융까지 활용 분야 확대 (0) | 2025.07.05 |
---|---|
미국 주택 가격, 가계 소득 격차 심화: 주택 시장의 끝나지 않는 도전 (0) | 2025.07.05 |
세계 R&D 지출 경쟁: 중국의 약진과 미국의 리더십 유지 (0) | 2025.07.04 |
2008년 이후, 미국과 영국 경제의 극명한 대비: 숫자로 보는 성공과 부진 (1) | 2025.07.02 |
자수성가 vs. 상속 재산: 글로벌 억만장자 현황 분석 (1)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