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과 2026년 G20 주요국들의 경제 성장 전망치가 발표되었습니다. OECD 경제 전망(2025년 6월 기준)에 따르면,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아시아 신흥국들의 성장을 견인하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 북미 3개국(미국, 캐나다, 멕시코)은 G20 평균 성장률을 밑돌 것으로 전망되며, 한국 역시 평균치를 하회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분석은 Visual Capitalist가 OECD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구성한 자료를 바탕으로 합니다.
아시아 신흥국들의 고성장: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선두
2025-2026년 기간 동안 G20 국가 중 가장 높은 경제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는 인도입니다.
- 인도: 2025년 6.3%, 2026년 6.4%
- 인도네시아: 2025년 4.7%, 2026년 4.8%
인도는 방대한 내수 시장, 인프라 투자 확대, 젊은 인구 구조의 장점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은 2025년 4.3%, 2026년 4.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르헨티나는 2025년 4.3%, 2026년 5.2%로 회복세가 기대됩니다.
주요 선진국들의 완만한 성장세: 미국, 유럽, 일본
| 국가 | 2025년 성장률 | 2026년 성장률 |
|---|---|---|
| 미국 | 1.6% | 1.5% |
| 캐나다 | 1.0% | 1.1% |
| 멕시코 | 1.6% | 1.1% |
| 프랑스 | 0.6% | 0.9% |
| 영국 | 1.3% | 1.0% |
| 이탈리아 | 0.6% | 0.7% |
| 독일 | 0.4% | 1.2% |
| 일본 | 0.7% | 0.4% |
유럽은 에너지 위기, 고인플레이션, 통화 긴축의 영향을 받아 저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대한민국 경제 성장 전망: G20 평균 하회
- 한국: 2025년 2.2%, 2026년 1.0%
한국은 수출 의존도와 내수 부진, 부동산 불안 등의 복합 요인으로 평균을 하회하는 성장세가 예상됩니다.
기타 국가들
| 국가 | 2025년 성장률 | 2026년 성장률 |
|---|---|---|
| 브라질 | 1.6% | 2.1% |
| 러시아 | 1.0% | 0.7% |
| 튀르키예 | 2.4% | 3.3% |
| 사우디아라비아 | 2.5% | 1.8% |
| 남아프리카공화국 | 1.3% | 1.4% |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하반기 전망
첫째, 인플레이션과 통화 정책의 향방이 관건입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장기화와 중앙은행 긴축은 성장률 하락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둘째, 중국 경제의 연착륙 여부가 중요합니다.
중국의 경착륙은 글로벌 공급망과 원자재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셋째, 지정학적 리스크의 장기화 가능성입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불안 등은 기업 투자 위축과 교역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2025-2026년 글로벌 경제는 아시아 신흥국을 중심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나, 선진국의 성장 둔화와 높은 불확실성에 주의가 요구됩니다.
Reference:
- OECD Economic Outlook (June 2025)
- Visual Capitalist (Data visualization based on OECD data)
'경제,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이스라엘-이란 갈등 장기화, 미 연준 금리 인하 가속화 가능성 (0) | 2025.06.18 |
|---|---|
| 2024년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미디어 브랜드 순위 분석: 구글, 틱톡, 페이스북의 삼두마차 체제 구축 (2) | 2025.06.18 |
| 2025년 중반 글로벌 증시 성과 분석: 홍콩/중국 대형주 선두, 미 기술주 부진 (0) | 2025.06.18 |
| 미래 혁신을 이끄는 12개 글로벌 미니 허브: 비즈니스 태그 페어링 분석 (0) | 2025.06.17 |
| 2020-2024년 글로벌 50대 사모펀드 운용사 순위: 자금 조달을 통해 본 시장 지배력 (0)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