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주식

글로벌 과학기술 허브 경쟁: 아시아의 부상과 대한민국의 위상

by 빔캣 2025. 6. 17.

글로벌 과학기술 허브 경쟁: 아시아의 부상과 대한민국의 위상


2025년 현재, 전 세계 과학기술 혁신을 주도하는 주요 클러스터들의 지형도가 새롭게 그려지고 있습니다.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주얼 캐피탈리스트(Visual Capitalist)가 분석한 '세계 50대 과학기술 클러스터' 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가 전 세계 과학기술 허브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며 막강한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단 2개의 클러스터로도 상당한 글로벌 위상을 확보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과학기술 클러스터 지도: 아시아의 압도적 존재감

대륙별 클러스터 분포

  • 아시아
    • 전체 50대 중 약 절반
    • 중국: 15개 (예: 베이징, 심천-홍콩-광저우, 상하이-쑤저우 등)
    • 일본: 3개
    • 한국: 2개
    • 대만: 2개
    • 싱가포르: 1개
  • 북미
    • 미국: 11개 (보스턴, 실리콘밸리, 시애틀, 뉴욕 등)
  • 유럽
    • 독일: 5개
    • 프랑스, 영국, 스위스, 스웨덴, 스페인, 네덜란드, 러시아 등 각 1~2개
  • 중동/오세아니아
    • 이스라엘, 이란: 각 1개
    • 호주: 2개

중국의 과학기술 클러스터 지배력은 특히 눈에 띄며, WIPO 분석에서도 단연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위상: 서울과 대전의 글로벌 경쟁력

클러스터 글로벌 순위
서울 (Seoul) 7위
대전 (Daejeon) 14위

대한민국은 2개 클러스터만으로도 세계 15위권에 2곳을 포함시키며 과학기술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서울 (Seoul)

  • ICT, 바이오, AI 등 첨단 분야 경쟁력
  • 대기업 R&D센터 + 스타트업 생태계 연계
  • 우수 인재와 인프라 집중

대전 (Daejeon)

  • 대덕연구단지 중심의 연구개발 특구
  • KAIST 등 이공계 대학 및 정부출연연 밀집
  • 기초과학부터 첨단기술까지 폭넓은 연구 성과

과학기술 클러스터의 중요성

  • 혁신의 중심지: 산학연 협력, 기술 상용화 촉진
  • 인재 유치: 우수 인프라 → 글로벌 인재 유입
  • 경제 성장: 신산업 창출, 고부가가치 일자리
  • 국가 경쟁력 제고: 글로벌 R&D 중심지로서 위상 강화

아시아의 부상 배경

"과거 서구 중심의 과학기술 주도권이 이제는 아시아로 이동 중이다."

  • 정부의 전략적 투자
  • 기술 인재의 대량 양성
  • AI, 반도체, 바이오 등 첨단 산업 육성

향후 과제와 전망

대한민국의 클러스터 성과는 고무적이지만, 지속 성장을 위해 다음이 필요합니다:

  • 원천 기술 개발: 양적 확대에서 질적 고도화로
  • 글로벌 협력 강화: 공동연구, 국제 네트워크 확대
  • 개방형 혁신 생태계: 외국인 인재 유치, 스타트업 지원
  • 지역 균형 발전: 수도권 집중 완화, 전국 과학기술 확산

대한민국은 미래를 선도할 과학기술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잠재력과 기반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인 투자와 전략적 선택이 없다면 이 위상을 지키기 어렵습니다.


Reference: